카지노 슬롯 게임

국립생태원, 특정지역서식 ‘멸종위기종Ⅰ급 좀수수치’ 2,000개체 전남고흥 고읍천 방류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민물고기인 ‘좀수수치’ 2,000여 마리를 전남 고흥군 고읍천에 23일 방류했다. 방류한 좀수수치는 지난해 4월부터 환경부와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생물다양성연구소 공동 연구로 인공 증식·복원 개체다. 미꾸리과 어류인 좀수수치는 전남 고흥반도와 거금도, 여수 금오도 등 남해 연안으로 흐르는 작은 하천에만 제한적으로 서식하는 특징이 있다. 잉어목 미꾸리과로 분류됐지만 형상은 미꾸라지처럼 가늘고 길쭉한 약 5㎝ 내외몸체에 3쌍의 수염과 몸 옆에는 13~19개의 줄무늬가 있다. 좀수수치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민물고기에 속한 귀한 몸이 된 것은 제한적인 분포지역의 하천 정비공사 등의 서식지 감소와 서식 환경이 파괴되고 악화되는 변화로 판단된다. 하지만 지난 2019년부터 멸종위기에 처한 좀수수치 복원 연구를 시작한 국립생태원이 2020년 국내 최초로 인공증식에 성공하면서 최근 2년 연속 500~1,000마리를 방류하고 있다.

2023-05-24     교통뉴스 김종훈 생태환경기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 민물고기류 좀수수치

전남고흥반도·거금도·여수금오도 남해연안서식

전남일대 여울과 작은하천에만 사는 민물어류

담황색 5내외로 등·체측 갈색 무늬 13~19

고흥군 금산면 거금도 신평천에서 40개체채집

인공증식 후 1년 키운 2,000마리 준성체 방류

멸종위기종 복원방류행사 지역학생과주민참여

 

 

전남고흥반도와 거금도, 여수금오도 등 남해연안 작은하천에 제한서식 좀수수치 2,000개체 방류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이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 민물고기인 좀수수치’ 2,000여 마리를 전남 고흥군 고읍천에 23일 방류했다.

방류한 좀수수치는 지난해 4월부터 환경부와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생물다양성연구소 공동 연구로 인공 증식·복원 개체다.

미꾸리과 어류인 좀수수치는 전남 고흥반도와 거금도, 여수 금오도 등 남해 연안으로 흐르는 작은 하천에만 제한적으로 서식하는 특징이 있다.

잉어목 미꾸리과로 분류됐지만 형상은 미꾸라지처럼 가늘고 길쭉한 약 5내외몸체에 3쌍의 수염과 몸 옆에는 13~19개의 줄무늬가 있다.

물속

좀수수치가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 민물고기에 속한 귀한 몸이 된 것은 제한적인 분포지역의 하천 정비공사 등의 서식지 감소와 서식 환경이 파괴되고 악화되는 변화로 판단된다.

1년 이상 공들인 끝에 적응력과 생존율 높아지는 몸길이 약 3~4cm 준성체로 자란 좀수수치 방류

지난 2019년부터 멸종위기에 처한 좀수수치 복원 연구를 시작한 국립생태원은 2020년 국내 최초로 인공증식에 성공하면서 최근 2년 연속 500~1,000마리를 방류해 왔다.

3번째 방류된 좀수수치 2,000마리는 지난해 5월 고흥군 금산면 거금도의 신평천에서 채집한 40개체 대상의 인공 증식 산물이다.

         【인공 증식 성공한 국립생태원의 좀수수치 증식과정

포획

자연 적응력과 생존율이 높아지는 준성체 성장을 기다리는 1년 이상 공들인 끝에 몸길이 약 3~4cm 정도로 자란 개체를 인근 봉래초등학교 학생들과 마을주민, 고흥군청 담당자들이 참여하는 방사 행사를 가졌다.

멸종위기종의 성공적 복원을 위해서는 장기간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한 조도순 국립생태원장은 멸종위기종의 증식과 방류 외에도 멸종위기 담수어류 보전 차원에서 서식지 개선과 보전방안 마련에 힘을 쓸 것이라고 말했다.

잉어목 미꾸리과로 분류된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 한국 고유종 좀수수치는 남해안 일대 고흥반도와 거금도, 금오도 일대에서만 서식하는 매우 제한적인 서식환경과 생태적 특성의 민물 어류다.

길고 납작한 형태의 담황색을 띤 약 5내외 전장 바탕과 등과 체측에는 갈색 반점 같은 갈색 가로무늬 13~19개 있다.

수심이 얕고 유속이 빠른 자갈과 모래가 깔린 소하천의 바닥에 서식하면서 수서곤충과 부착조류를 섭식하면서 6~7월 여울 바닥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종이 된 이유는 하천 정비공사와 골재채취 등에 의한 서식지 파괴와 환경악화 등이 분포지역 축소와 개체 수를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